말린 어깨 때문에 렛풀다운 할 때 어깨 충돌로 인하여 통증이 나타난다면, 렛풀다운이 중요한 게 아니라 말린 어깨를 피는 교정 운동이 우선시 되어야 합니다. 현재 헬스를 다니시는 분들은 그만두시고 교정 운동부터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헬스 트레이너 입장에서는 ” 운동하면서 근육 키우면서 교정 충분히 가능해요. “라고 말씀을 하시겠지만, 헬스 트레이너조차도 잘못된 자세에서 근육 키워서 전부 다 빼고 교정한 후에 근육 키우는 분들도 많습니다.
즉, 헬스 및 요가나 필라테스로 교정을 한다? 사실상 운동을 업으로 해도 쉽게 이루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현재 말린 어깨 때문에 렛풀다운 하는데 무리가 가거나, 팔을 벌려 위로 올렸을 때 어깨 부분에서 소리 난다면 근력 운동은 잠시 접으시고 반년 동안 자세 교정에 힘써주셔야 합니다.
말린 어깨가 왜 생기는지 이유부터 알아야 필자가 하는 말의 힘이 어느 정도 전해지겠다 싶어, 원인부터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말린 어깨가 생기는 이유는 상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서입니다.
무거운 책가방, 구두, 땅을 보고 걷는 습관, 컴퓨터나 책을 볼 때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 등등으로 상체 무게중심이 앞으로 기울어지게 됩니다. 가장 먼저 라운드 숄더부터 생기게 되며 승모근이 과도하게 긴장되어 옷걸이 어깨로 변형되지요.
나중에 되면 하체에도 영향을 주게 되어 보상 작용으로 골반 불균형과 휜다리 증상까지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만큼 상체 무게중심은 우리의 신체 밸런스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도 합니다.
이를 교정하려면 간단합니다. 근력 운동 하지 마시고 계단 손잡이를 잡아주시고 시선만 정면보다 살짝 위를 응시하여 주시고 걷기 시작하시면 됩니다. ” 이게 무슨 말이지?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시선을 정면으로 바라보시고 몸에 힘을 뺀 다음에 천천히 보폭을 줄여가며 걸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점점 상체 무게중심이 뒤로 이동하는 것이 느껴지시면서, 익숙해지면 견갑 부분 가운데 부분에 자극이 오는 것을 느끼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자극이 오는 것은 그만큼 그동안 그 부위를 사용을 안 한 것이며, 한 달 정도 되면 익숙해지게 됩니다.
필자는 하루에 안마의자 2회, 걷기 운동 1시간으로 반년동안 노력한 끝에 라운드 숄더 말린 어깨를 다 교정하였고, 하체 또한 골반전방경사 및 엉덩이 근육 활성화까지 개선이 되어 지금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어느 정도 ” 자세가 완전히 개선이 됐다. “라고 판단할 때 헬스나 필라테스 요가를 하셔야지, 자세 교정도 안됐는데 무턱대고 근육 키우면, 나중에 그 근육 자체가 근육 결림 혹은 만성 근육통으로 고생하실 수 있습니다.
결국 잘못 운동하게 되면 매일매일 그 근육을 풀어주러 마사지를 받으셔야 할 수도 있는 몸이 되어버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리를 잘 이해하시고 밸런스 있고 안정적인 근육을 키우시기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