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석이 굳은 후에 구취가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 치석과 치태 안에 충치가 생겨서 썩어가기에 냄새가 생기는 것이 주원인입니다. 치석은 거의 냄새가 안 납니다. 문제는 충치가 생겨서 나는 것이지요.
자주 생기는 부위는 크라운이나 레진 보철물을 한 부위에서 발생하게 됩니다. 크라운인 경우에는 잇몸과 이음새 부분에 치석이 조금씩 생겨서 잇몸이 점차적으로 내려가게 되고,
이에 틈이 조금조금씩 확장되어 치석의 세력을 넓혀가게 됩니다. 이렇게 넓혀가다가 어느 날 갑자기 스케일링 한번 하고 나면 틈새가 넓어져서 훤히 보이는 경우가 생겨버리는 것이지요.
그러면 그때부터는 이물질이 자주 껴서 다시 충치가 생길 확률을 올리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가장 많이 생기는 부위가 크라운과 레진인데 아무래도 영구치와 보철물 사이에 음식물이 쉽게 접근이 가능하기에 생기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단기적으로는 충치 치료 하는 데 있어서 가격이 저렴해서 좋은 장점도 있지만, 오랫동안 사용을 할 수가 없는 단점이 남아있기에,
요즘에는 크라운이나 레진적인 치료 방향보다는 임플란트로 대체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충치 재발은커녕 옆치아에 피해 하나도 안 주고 오랫동안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많이 찾지요.
그래서 현재 치석으로 인하여 냄새가 나신다면 그 내부 안에 충치가 이미 서식하고 썩고 있는 중이므로 즉각적으로 치과에 방문하셔서 점검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간혹 아말감 아랫부분에 충치를 못 발견하시는 분들도 계셔서 웬만하시면 치과는 여러 군데 정도 돌아다니시면서 진료를 받아보시고 가장 니즈에 맞는 전문의를 선택하여 치아 치료받으시길 바라겠습니다.